숫자는 거짓말하지 않는다. - 지금 대한민국은 ‘혼자 늙어가는 나라’가 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 수없이 들어온 말이죠. 뉴스에서도, 기사 제목에서도, 회의 자료에서도. 그런데 정작 우리는 그 말이 내 삶과 어떤 연결이 있는지 , 얼마나 피부로 느끼고 있을까요? “나중 일이지”, “그래도 우리 가족은 괜찮을 거야”, 이렇게 생각하며 눈을 감아왔던 문제. 하지만 이제는 눈을 감고 있을 수 없습니다. 고령사회는 지금 여기를 살아가는 우리의 현실이고, 미래가 아닌 현재의 문제 가 되어버렸습니다. 👥 문제 1. “너무 많아지는 노인, 너무 줄어드는 청년” 2025년 현재, 한국은 공식적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 했습니다. 유엔이 규정한 기준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에 해당하죠. 우리는 그 문턱을 넘었고, 앞으로 더 빠르게 고령화는 진행됩니다. 2025년 : 고령 인구 20.6% 2030년 : 약 25% 2045년 : 37% 돌파 예정 (3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문제는 단지 숫자가 아니라 그 속도 에 있습니다. 한국은 지금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나라 입니다. 이 말은, 아무도 준비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뜻 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동시에 출산율은 역대 최저. 한 해 태어나는 아이보다 은퇴하는 사람이 두세 배 더 많은 상황. 미래의 노동력, 돌봄 인력, 연금 재정까지 흔들리고 있습니다. 🏠 문제 2. “함께 사는 노인은 점점 사라진다” ‘가족이 돌봐주겠지’, ‘나는 자식이 둘 있으니까 괜찮을 거야’라는 생각, 이제는 믿을 수 없는 가정입니다. 한국의 독거노인 수는 168만 명을 넘어섰고 , 2040년이면 300만 명을 훌쩍 넘을 거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그 중 절반 이상은 여성 , 그리고 80세 이상 입니다. 남편을 먼저 떠나보낸 뒤 홀로 남은 어머니들, 자녀와 연락이 끊긴 고령자들, 아예 결혼하지 않았거나 자녀가 없는 사람들까지. 현실은 간단합니다. 한국 사회에서 노인은 점점 ‘혼자’가 되어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