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 사라진 시대 - 누가 나를 돌봐줄까, 내가 누굴 돌볼 수 있을까

"우리 애가 있잖아, ... ~~ 나중엔 자식이 알아서 해주겠지." 예전엔 누구나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부모를 모시는 건 자식 된 도리였고, 늙으면 자식이 자연스럽게 돌보는 삶의 흐름은 당연한 것이었죠. 하지만 이제는 그런 기대조차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오히려 그런 기대를 품고 있다가 더 큰 외로움과 상실감을 겪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2025년, 한국 사회는 그야말로 ‘혼자 사는 시대’에 들어섰습니다. 가족이라는 공동체가 해체되고, 개인의 삶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우리는 중요한 질문 하나를 마주하게 됩니다. "나중에, 나는 누가 돌봐줄까?" 그리고 또 하나의 질문도 떠오르죠. "나는 과연 누구를 돌보며 살아가고 있을까?" 👨👩👧👦 가족은 더 이상 '돌봄의 보장'이 아니다 지난 수십 년간 한국 사회는 가족 중심의 돌봄 체계를 당연하게 여겨왔습니다. 하지만 시대는 변했습니다. 평균 혼인율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고,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인 0.7대를 맴돌고 있습니다.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4% 이상을 차지하며, 곧 40%에 이를 전망입니다. 비혼, 돌싱, 딩크족은 더 이상 특별한 케이스가 아닙니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의식적으로 가족을 만들지 않고, 혼자 살아가는 삶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다양합니다. 경제적 부담, 개인의 자유 존중, 결혼에 대한 회의, 그리고 가족이라는 울타리가 더 이상 안전망이 아니라는 인식도 존재하죠. 특히 ‘결혼 = 안정’ 이라는 공식은 이제 더 이상 유효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가족이 없거나, 있어도 물리적·정서적으로 멀어진 이들은 노년기에 누구에게 의지해야 할까요? ‘혼자 늙는다’는 것은 단지 외롭다는 문제가 아닙니다. 누군가와 함께하지 않는 삶은 병, 사고, 정서적 고립, 생활의 어려움 등 수많은 위험을 동반합니다. 🧓 돌봄의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인의 삶은 점점 더 개인화되고 있습니...